독립적인 보행이 어려운 경우 보행 및 이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보조기기
예) 수동휠체어, 전동휠체어, 전동스쿠터, 유모차, 워커, 보행기, 지팡이 등
불안정한 자세로 인한 신체 변형을 방지하고 신체정렬을 유지하여 눕기, 앉기, 서기 등의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기기
예) 피더시트, 기립훈련기, 카시트 등
먹기, 입기, 용변처리, 옷입기 등 일상생활에서 독립적인 생활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스스로 생활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보조기기
예) 목욕의자, 이동변기, 식사보조기기, 욕창방지방석, 미끄럼방지매트 등
일반 IT 기기의 사용이 어려워 활용도가 저하되는 경우 머리, 발, 눈 등 신체부위 중 가장 잘 활용 할 수 있는 곳을 사용해 컴퓨터 접근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보조기기
예) 안구마우스, 확대키보드, 스위치, 터치모니터, 거치대 등
언어장애, 발달장애, 뇌병변장애 등 발성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원활하게 타인과 대화 할 수 있도록 보완해주는 보조기기
예) 키즈보이스, 스마트AAC, 소보로 탭, 음성녹음형스위치, 오케이 톡톡 등
시각 및 청각장애인이 일상 및 사회생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기기
예) 점자정보단말기, 독서확대기, 음성증폭기 등
물리적 장벽(계단, 턱 등)의 최소화 및 주택의 동선 확보 등 접근성 향상과 생활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보조기기
자택 내에서 원활하게 활동을 하기 위해 환경을 개조하는 보조기기
예) 안전손잡이, 경사로, 스마트 조명 등
장애로 변화된 신체 기능으로 자동차를 사용 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경우 접근성을 향상시켜주는 보조기기
장애의 유형과 대상자의 틍성에 맞게 차량을 개조하여 탑승과 운전을 지원하는 보조기기
예) 족동장치, 핸들봉, 확장 페달 등
다양한 놀이, 레저와 스포츠 활동에 제약이 있는 경우 문화 및 여가 생활의 참여 및 활동을 향상 시키는 보조기기
예) 장애인용 자전거, 해변용 휠체어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