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종양내과에서는 혈액질환 및 악성종양(암)에 대한 진료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혈액내과에서는 빈혈, 혈소판질환, 다발성골수종, 백혈병 등 혈액질환에 대한 진료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종양내과에서는 악성 종양(암)에 대한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전충청지역 중 최초로 조혈모세포이식센터를 개설, 운영하고 있으며, 백혈병, 재생 불량성 빈혈을 비롯한 난치성 혈액질환, 림프종 등에 대한 조혈모세포이식(골수이식)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입원형, 가정형, 방문형 호스피스 센터를 개소.운영함으로서 말기암 환자에 대한 호스피스진료 및 완화의학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혈액종양내과에서는 혈액질환 및 악성종양(암)에 대한 진료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혈액내과와 종양내과로 구성되어 있고, 본관동의 165병동과 173병동에서 입원환자를 진료하고 있으며, 164병동에는 완화의료병실을 갖추고 있습니다. 혈액내과에서는 빈혈, 혈소판질환, 다발성골수종, 백혈병 등 혈액질환에 대한 진료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종양내과에서는 악성종양(암)에 대한 항암화학요법을 담당하고 있으며, 말기암 환자에 대한 호스피스진료 및 완화의학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조혈모세포이식센터를 통해 백혈병, 재생불량성빈혈을 비롯한 난치성 혈액질환 및 임파선암선 등 일부 암에 대한 조혈모세포이식(골수이식)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혈액내과에서는 빈혈, 혈소판질환, 백혈병 등 각종 혈액질환에 대한 진료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조혈모세포이식센터를 통해 각종 조혈모세포이식(골수이식)을 시행하고 있으며, 해마다 시술 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종양내과에서는 각종 악성종양(암)에 대한 항암화학요법(항암제 치료)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 암치료를 위한 면역항암요법, 치료방사선과 및 외과계열과 협진 및 여러 의료기관과의 다기관 임상연구도 실시하고 있습니다. 한편, 암의 예방과 말기암 환자에 대한 호스피스진료 및 완화의학을 실시하고 있으며, 일부의 암에 대한 비골수억제성 조혈모세포이식을 비롯한 새로운 치료법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1996년 7월 30일 중부권 최초로 조혈모세포이식센터를 개설하여 환자 진료에 임하고 있습니다. 조혈모세포이식(골수이식)은 각종 백혈병, 재생 불량성 빈혈, 골수 이형성 증후군 및 다발성골수종 등의 혈액질환뿐 아니라 복합면역부전증 및 림프종 등의 일부 암 환자에게 완치의 기회를 제공하는 중요한 치료법 중의 하나입니다. 1996년 유방암환자에 대해 처음으로 자가 말초혈액조혈모세포이식을 성공적으로 시행한 이래, 2018년 말 현재 500례 이상의 각종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하였습니다.
2002년 산재형 호스피스를 시작으로 2008년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병동을 개소하여 입원형 및 가정형 호스피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말기 암환자의 신체적, 사회적, 심리정서적, 영적 돌봄을 통해 환자 및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후에도 자문형 호스피스 도입 뿐 아니라 2018년 권역별 호스피스센터 지정을 통해 대상자 확대 및 완화의료 돌봄 증대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진료 이외에도 혈액종양연구실에서는 암과 혈액질환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해오고 있습니다. 2009년 대한암학회지 우수논문상, 2009년 The 7th Asia Pacific Oncology Summit에서 Runner-up Basic Science, 2010년 The 46th America Society of Clinical Oncology(ASCO) Annual Metting에서 Merit Award, 2012년 The 10th Annual Meeting of Japanese Society of Medical Oncology에서 Travel Award를 수상하였고, 이외 학술저서에 저자로 참여하는 등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혈액종양내과는 암과 난치성 혈액질환의 정복을 위해 더욱 전문화된 양질의 의료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최선을 다함으로써 세계적인 수준으로 도약하도록 노력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