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리과는 환자의 질환을 형태학적 분자생물학적 검사를 통해 진단하는 진료과입니다.
병리진단은 환자의 진단과 치료 뿐 아니라 질병의 연구에도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질병의 형태학적 병리 진단과 분자유전체 병리 진단 결과의 연결을 통해 표적치료 및 환자 맞춤형 의료에 핵심적 역할을 담당합니다.
병리과는 조직병리, 세포병리, 초미세병리(전자현미경 검사), 면역병리, 분자유전체병리 및 부검 분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임상 각 과에서 의뢰하는 생검, 수술조직, 세침조직, 세포도말 및 체액 등을 대상으로 병리진단이 이루어지고 수술 중 응급 동결절편검사 진단은 수술 방침을 결정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병리과는 임상 각 과와의 증례토의를 통하여 진료의 질을 높이고 의학 교육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병리진단은 환자의 진단과 치료 뿐 아니라 질병의 연구에도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부인과, 세포병리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일 | |
---|---|---|---|---|---|---|---|
오전 | 가능 | 가능 | 가능 | ||||
오후 | 가능 | 가능 | 가능 | ||||
비고 |
갑상샘, 두경부, 혈액종양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일 | |
---|---|---|---|---|---|---|---|
오전 | 가능 | 가능 | 가능 | ||||
오후 | 가능 | 가능 | 가능 | ||||
비고 |
유방, 산과, 신경병리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일 | |
---|---|---|---|---|---|---|---|
오전 | 가능 | 가능 | 가능 | 가능 | 가능 | ||
오후 | 가능 | ||||||
비고 |
소화기(위,식도,소장),신장병리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일 | |
---|---|---|---|---|---|---|---|
오전 | 가능 | ||||||
오후 | 가능 | 가능 | 가능 | 가능 | 가능 | ||
비고 |
피부, 소화기(대장)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일 | |
---|---|---|---|---|---|---|---|
오전 | 가능 | 가능 | 가능 | ||||
오후 | 가능 | 가능 | 가능 | ||||
비고 |
폐병리, 심혈관, 골연부조직병리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일 | |
---|---|---|---|---|---|---|---|
오전 | 가능 | 가능 | 가능 | ||||
오후 | 가능 | 가능 | 가능 | ||||
비고 |
간담도계, 비뇨기계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일 | |
---|---|---|---|---|---|---|---|
오전 | 가능 | 가능 | 가능 | 가능 | 가능 | ||
오후 | 가능 | ||||||
비고 |
소화기병리, 폐병리, 심혈관병리, 부인과병리, 신장병리, 비뇨기병리, 핼액병리, 골연부병리, 신경병리, 내분비병리, 두경부병리, 신경병리, 피부병리, 세포병리, 면역병리, 분자유전체병리